본문 바로가기

고전작품3

도산십이곡 원문 도산십이곡 원문 보기 전6곡 1이런들 엇더며 뎌런들 엇더료.2초야우생(草野遇生)이 이러타 엇더료.3며 천석고황(泉石膏肓)을 고텨 므슴료. 4연하(煙霞)로 집을 삼고 풍월(風月)로 벗을 사마,5태평성대(太平聖代)에 병(病)으로 늘거가뇌.6이 듕에 바라 일은 허므리나 업고쟈. 7순풍(淳風)이 죽다니 진실(眞實)로 거즛마리.8인성(人性)이 어지다 니 진실(眞實)로 올 말이.9천하(天下)에 허다 영재(許多英才)를 소겨 말가. 10유란(幽蘭)이 재곡(在谷)니 자연(自然)이 듯디 됴해.11백운(白雲)이 재산(在山)니 자연(自然)이 보디 됴해.12이 듕에 피미일인(彼美一人)을 더옥 닛디 몯얘. 13산전(山前)에 유대(有臺)고 대하(臺下)애 유수(流水)ㅣ로다.14 만흔 며기 오명가명 .. 2020. 1. 18.
맹사성 강호사시가 시조 원문 맹사성의 강호사시가 원문/전문입니다. 1. 춘사(春詞) 江湖(강호)에 봄이 드니 미친 興(흥)이 절로 난다2 濁醪溪邊(탁료계변)에 錦鱗魚(금린어)ㅣ 안주로다 이 몸이 閑暇(한가)옴도 亦君恩(역군은)이샷다 2. 하사(夏詞) 江湖(강호)에 녀름이 드니 草堂(초당)에 일이 업다 有信(유신) 江波(강파) 보내니 람이다 이 몸이 서옴도 亦君恩(역군은)이샷다 3. 추사(秋詞) 江湖(강호)에 이 드니 고기마다 져 잇다 小艇(소정)에 그믈 시러 흘리 여 더뎌 두고 이 몸이 消日(소일)옴도 亦君恩(역군은)이샷다 4. 동사(冬詞) 江湖(강호)에 겨월이 드니 눈 기픠 자히 남다 삿갓 빗기 고 누역으로 오슬 삼아 이 몸이 칩지 아니옴도 亦君恩(역군은)이샷다 퓽류적이고 낭만적인 시조 강호사시가. 최초의.. 2020. 1. 17.
경기체가 한림별곡 원문 보기 1 元淳 文(원순 문) 仁老 詩(인로 시) 公老 四六(공로 사륙) 2 李正言(이정언) 陳翰林(진한림) 雙韻走筆(쌍운주필) 3 冲基(충기) 對策(대책) 光鈞(광균) 經義(경의) 良鏡(량경) 詩賦(시부) 4 위 試場(시장)ㅅ 景(경) 긔 엇더니잇고 5 (葉) 琴學士(금학사)의 玉笋門生(옥순문생) 琴學士(금학사)의 玉笋門生(옥순문생) 6 위 날 조차 몃부니잇고 7 唐漢書(당한서) 莊老子(장노자) 韓柳文集(한류문집) 8 李杜集(이두집) 蘭臺集(란대집) 白樂天集(백락천집) 9 毛詩(모시) 尙書(상서) 周易(주역) 春秋(춘추) 周戴禮記(주대예기) 10 위 註(주)조쳐 내외온 景(경) 긔 엇더니잇고 11 (葉) 太平光記(태평광기) 四百餘卷(사백여권) 太平光記(태평광기) 四百餘卷(사백여권) 12 위 歷覽(역람)ㅅ .. 2020. 1. 14.